목록전체 글 (255)
Joonas' Note

개요 아나콘다(Anaconda)는 파이썬의 버전과 패키지들의 버전을 쉽게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강력한 솔루션이다. 하지만 200명 이상 규모의 회사에서는 개인용 버전인 Anaconda Distribution을 사용할 수 없다고 한다. 그리고 어떤 패키지들은 아나콘다에서 추적하지 못할 수도 있다. 파이썬의 버전과 각 프로젝트에 맞는 가상환경을 쉽게 구축하고 관리하는 것을 아나콘다의 기능이라고 보고, 이번 글에서는 아나콘다를 사용하지 않고 classic하게 관리하는 환경을 구축한다. 먼저, 크게 세 가지로 나눠서 접근해보자. 파이썬 버전 관리 패키지 관리 가상 환경 관리 파이썬 버전 관리 파이썬은 특정 패키지들이 버전을 지원하지 않으면 버전을 내려야하는 경우들이 종종 있다. 예를 들면 Python 3.7 ..
패키지를 설치하다보면, 모종의 이유로 wheel을 직접 다운로드하는 경우가 있다. wheel을 직접 다운로드 하려고하면, 설치하려는 환경에 따라서 whl 파일이 엄청나게 많은데, 그럴 때마다 운영체제, 비트, python 버전 등을 전부 한번씩 확인하게 된다. 잘못된 whl 파일로 설치하려고 하면 아래와 같은 에러를 만나서 무척 피곤해진다. ~~.whl is not a supported wheel on this platform. 2018년에 TensorFlow의 GitHub repository에서 동일한 질문이 있었고 https://github.com/tensorflow/tensorflow/issues/9722 , 아래와 같이 엄청 간단한 커맨드로 쉽게 확인할 수 있었다. Linux/Mac $ pytho..

Context BOJ Extended의 일부 기능을 성능 최적화 하는 중에 생긴 일이다. 확장 프로그램의 특성상, 로드되는 DOM 을 조작하는 일이 많다. 그 중에서 불필요하게 DOM을 조작하느라 속도가 느린 부분이 보여서, 렌더링 단계를 생략할 수 있도록 CSSOM으로 역할을 넘기는 작업을 하고 있었다. 그런데 페이지 로드가 평소보다 심하게 느려져서 확인해보니, 아래와 같은 상황이 발생했다. 해결 무슨 일인지 확인하기 위해서 MDN 문서를 확인했는데, 다음과 같은 문장이 있었다. innerText는 Node.textContent와 혼동하기 쉬우나 중요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innerText는 텍스트의 렌더링 후 모습을 인식할 수 있지만 textContent는 그렇지 않습니다. 말 그..

오류 Beanie Document를 사용하는 Pydantic 모델을 pytest에서 사용하려고 할 때, collection이 초기화 되지 않았다는 오류가 나오면서 테스트 실행 자체를 실패한다. MongoDB와 관련해서 초기화를 하지 못했다는 내용 같은데, fixture 같은 걸로 테스트 실행 전에 아래처럼 추가해줘도 마찬가지로 발생한다. @pytest.fixture(autouse=True) async def test_client(): client = AsyncMongoMockClient() await init_beanie(document_models=[TestModel], database=client.get_database(name="db")) 계속 발생하는 beanie.exceptions.Collect..

아래의 글을 먼저 읽고 진행하시는 것을 추천한다. [FastAPI + React] 소셜 로그인 구현하기 - 구글 로그인 아래 글에서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FastAPI + React] 소셜 로그인 구현하기 - 이메일 로그인 아래 글에서 이어지는 내용이다. [FastAPI + React] 소셜 로그인 구현하기 - 기본 환경 구축 들어가기 전에 Reac blog.joonas.io 들어가기 전에 Google, GitHub, Microsoft 등은 FastAPI Users에서 친절하게 구현을 미리 해주었습니다. 하지만 카카오와 같은 국내 기업들에 대한 로그인은 구현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클래스를 오버라이딩해서, 기존에 작성한 FastAPI Users와 완전히 호환되는 로그인을 구현한다. Fast..

아래 글에서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FastAPI + React] 소셜 로그인 구현하기 - 이메일 로그인 아래 글에서 이어지는 내용이다. [FastAPI + React] 소셜 로그인 구현하기 - 기본 환경 구축 들어가기 전에 React는 CRA(Create React App)를 통해 생성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며, 여기서는 5.0.1 버전을 사 blog.joonas.io 들어가기 전에 FastAPI에서 구글 로그인을 지원하는 많은 패키지들이 있다. 우리가 설치한 FastAPI Users에서도 지원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이제까지 검색해서 확인한 방법들은 상황이 달랐다. FastAPI 에서 라우팅을 한다고 가정하고 작성된 방법들이 많았었고, 그래서 구글 인증 후에 돌아오는 redirection에 문제가 ..

아래 글에서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FastAPI + React] 소셜 로그인 구현하기 - 기본 환경 구축 들어가기 전에 React는 CRA(Create React App)를 통해 생성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며, 여기서는 5.0.1 버전을 사용했다. 나머지 모듈들은 package.json에서 확인할 수 있다. FastAPI는 0.83.0 버전을 사용했고,. blog.joonas.io 이 글의 목표 Backend는 FastAPI users를 사용해서 라우팅까지 전부 간단하게 구현이 끝났다. 그럼 API에서 생성된 유저 관련 라우터들을, 아래와 같이 React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연동해보자. 전체 내용 앞으로 구현할 내용은 간단하다. 리액트에서 폼을 만들어서, 백엔드의 로그인 엔드포인트로 요청하면, 받은 ..

들어가기 전에 React는 CRA(Create React App)를 통해 생성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며, 여기서는 5.0.1 버전을 사용했다. 나머지 모듈들은 package.json에서 확인할 수 있다. FastAPI는 0.83.0 버전을 사용했고, 그 외에 필요한 패키지들과 버전은 requirements.txt에 적혀있다. 이 글에서는 백엔드로는 RESTful한 API 서버를 FastAPI로 구축하고, 프론트는 React를 별도로 실행한다. 두 프레임워크 모두 기본적인 내용만 다루어도 글이 너무 길어지므로, 각 프레임워크의 기본 예제를 모두 사용했다는 것을 가정하고 글을 작성할 예정이다. React 한국어 튜토리얼 - https://ko.reactjs.org/tutorial/tutorial.html F..